목차
영화 <더문> 정보 및 등장인물
영화 <더 문>은 사고로 인해 달에 홀로 고립된 우주 대원 황선우(도경수)를 구하기 위한 사투가 담긴 작품입니다. 김용화 감독은 전작 '신과 함께'에서 사용한 용서와 구원의 테마를 우주로 확장하고, 호평을 받았던 시각특수효과(VFX) 기술로 우주 공간을 그려냈습니다. 최대 관람 스펙으로 알려진 돌비 비전 4K HDR 마스터링으로 높은 해상도와 선명도를 구현하여 우주의 칠흑 같은 어둠과 대조되는 태양의 쨍함을 보여줍니다. '더 문'은 최초로 달 탐사에 성공한 근미래 한국이 배경입니다. 2029년, 우리호가 달을 향합니다. 하지만, 태양 흑점 폭발로 인한 태양풍이 우리호를 덮치고, 황선우 대원만이 홀로 남겨집니다. 선우는 미션을 완수하고 반드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갖고 달에 착륙하고, 임무 달성 후 달의 뒷면에서 탈출을 시도합니다. 우리의 눈에는 아름다운 '별똥별'로 보였던 유성우가 달의 뒷면에 있는 선우에게는 어디서 떨어질지 모르는 포탄 같은 위험한 존재가 됩니다. 5년 전, 대한민국 우주선 나래호는 달로 향했지만 모두가 지켜보는 있는 가운데 공중 폭발했기 때문에 온 국민이 그의 생존을 염원합니다. 선우를 무사 귀환시키기 위해서 5년 전 나래호 사고의 책임을 지고 산에 묻혀 지내던 전임 센터장 김재국(설경구)과 NASA 유인 달 궤도선 메인 디렉터 윤문영(김희애)이 합류하여 고군분투합니다.
영화 <더문> 쿠키, 평점, 고릴라 인형
영화 <더문>의 쿠키 영상은 없지만, 배우 크레딧과 함께 에필로그 영상이 나옵니다. 평점은 네이버에서 영화 관람객 850명이 참여하여 8.1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F는 청년층을, 신파는 중장년층을 노리는 경향이 강한데, 청년층은 신파에 거부감을 느끼고 중장년층은 SF 영화에 거부감을 느끼는 탓에 관객층을 제대로 잡지 못했다는 평입니다. 시각적인 측면에선 우주 SF를 잘 표현했다는 호평과 스토리 개연성 부족에 대한 혹평이 함께 쏟아지고 있습니다. 영화 평론가 이동진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별점 2점을 주며 "이야기가 다가와야 기술도 보인다"라는 한 줄 평을 전했습니다. '신과 함께'에 이어 '더문'에서도 링링이 등장합니다. 영화 '미스터 고'의 고릴라 캐릭터 링링은 김용화 감독의 시그니처입니다. 비록 영화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미스터 고'의 의미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로 링링이를 꾸준히 소품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신과 함께'에서 마동석이 인형 갖고 나오는 장면에서 등장했고, '더 문'에서는 우주비행사 조윤종(이이경)의 열쇠고리 인형으로 등장합니다 실제 우주비행사들이 중력가속도가 0이 되는 순간을 캐치하기 위해 작은 인형을 비행선에 가져간다는 사실을 반영한 디테일이라고 합니다.
영화 <더문> 원작 그리고 조석
영화 <더문>의 원작은 없습니다. 하지만, UDT 출신 황선우의 실존 모델은 한국계 미국인 조니 김(Jonny Kim)이라고 합니다. 조니 김은2002년 미 해군 특수부대 출신으로 하버드 의대에서 학위를 받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에서 레지던트로 일했습니다. 이후,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15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나사 우주비행사 프로그램 선발 되었지만, 2024년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에는 최종 선발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김용화 감독은 EBS 한국천문연구원 특강을 보고 '더 문'을 기획했습니다. 연구원은 지구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해소법에 대해 별을 보면서 이야기를 하면 그 순간 무든 문제와 자신이 미진해지고 숭고해진다고 답해 큰 울림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다 '신과 함께-인과 연'을 작업하던 중에 시나리오 원안을 보게 됐고, 달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 '더 문'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더 문'은 달에 홀로 남은 우주 비행사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여러모로 조석 작가의 네이버 웹툰 '문유'를 떠오르게 합니다. '더 문'과 다른 설정은 지구가 멸망한 후 일어나는 이야기라는 점입니다. 한편, 웹툰 '문유'를 원작으로 한 중국 영화 <독행월구>는 7,000만 관객을 동원하며 2022년 중국 박스오피스 2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